Back-end44 [멋쟁이사자처럼] 키워드 정리 과제 이번 과제는 주어진 주제에 대해 공부해보는 것이다. 시작! DI DI는 Dependency Injection의 줄임말로 의존관계 주입이라고도 한다. 의존관계란? "A가 B를 의존한다" 의 뜻은 B가 변경된다면 A도 변경된다는 의미이다 의존관계가 발생하는 상황은 다음과 같다. -B가 A의 필드-B가 A 메서드의 파라미터-B가 A의 로컬변수-B로 메세지를 보냄 public class Barista { private IceVanillaLatteRecipe iceVanillaLatteRecipe; public Barista() { iceVanillaLatteRecipe = new IceVanillaLatteRecipe(); }} 위 코드와 비교해봤을 때 public class .. 2024. 3. 27. [멋쟁이사자처럼] level5 구현 2주차 과제는 토큰을 생성하고, 받은 토큰을 디코딩하여 원하는 정보를 얻는 것이었습니다. level5 public String createToken(Long memberId) { // TODO [5단계] 현재 시간과 설정된 만료 시간을 사용하여 만료 날짜를 설정하세요. key = Keys.secretKeyFor(SignatureAlgorithm.HS256); long nowMillis = System.currentTimeMillis(); Date now = new Date(nowMillis); Date exp = new Date(nowMillis + 3600000); // TODO [5단계] memberId를 클레임으로 추가하세요. Claims claims = Jwt.. 2024. 3. 19. [멋쟁이사자처럼] level1~4 구현 10주동안 todo list를 클론코딩하는 과제를 한다고 하셨다!내가 알던 클론코딩은 거의 그대로 코드를 쓰는 것이었는데 여기선 level마다 구현해야 할 기능이 있고, 이들을 구현하여 test에 성공해야한다. 재밌을 것 같으면서도 두렵다...... level 1 Member.java public void login(String password) { // TODO [1단계] 입력받은 password가 이 객체의 password와 같은지 확인하세요. 같지 않다면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습니다" 메시지와 함께 UnAuthorizedException을 발생시키세요. //해결 if(!password.equals(this.password)){ throw .. 2024. 3. 12. [멋쟁이사자처럼] 1주차 정기세션(HTTP, REST_API) 이제 2교시! HTTP http는 인터넷에서 정보를 주고 받는데 사용되는 통신규약(프로토콜)이다. 웹브라우저와 웹 서버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는 방법은 정의한 것이다. 클라이언트 :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웹 브라우저가 이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페이지를 요청하면 이 요정이 HTTP메세지로 웹 서버로 전송된다. 서버 : 클라이언트 요청에 응답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컴퓨터이다. 웹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해당하는 웹 페이지나 데이터를 전송한다. 클라이언트는 프론트, 서버는 백이라고 생각해도 된다. HTTP 메세지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교환되는 데이터이다. http 메세지는 요청과 응답 두 가지가 있다. 요청은 클라이언트 -> 서버이고, 응답은 서버 -> 클라이언트이다. .. 2024. 3. 12. [멋쟁이사자처럼] 1주차 정기세션(스프링이란?, DI와 IoC) 스프링 탄생배경 EJB는 엔터프라이즈 자바빈즈(Enterprise Java Bean)의 줄임말이다. 애플리케이션의 업무 로직을 가지고 있는 서버 애플리케이션이다. JB는 자바 객체를 재사용 가능하게 컴포넌트화 시킬 수 있는 코딩방침이니까 EJB는 컴포넌트들을 관리하는 컨테이너이다. EJB에는 코드들이 많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객체들간의 의존성을 해결하기 위해서) 따라서 EJB를 사용하지 않고 객체를 관리할 수 있는 컨테이너가 개발되었는데 그것이 스프링이다. 스프링이란? 스프링이라는 단어를 특정한 하나를 지칭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여러 기술들의 집합체를 의미한다. 스프링 내에 기술들은 스프링 프레임워크, 스프링 부트, 스프링 데이터... 등이 있다. 스프링 프레임워크가 핵심이고 이 기술들을 편리하게 .. 2024. 3. 12. [멋쟁이사자처럼] 방학과제 2주차 피드백 정리 2주차 과제는 raceCar미션이었다. 1주차와 마찬가지로 random을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https://github.com/CNU-Likelion/12th-backend-racingcar/pull/1 [202101947 김민지] 2주차 미션을 제출합니다. by alsswl · Pull Request #1 · CNU-Likelion/12th-backend-racingcar [202101947 김민지] 2주차 미션을 제출합니다. github.com 위와 같은 순서로 구현하였다. 이전에 비해서 commit단위가 커진 것 같다.... 이번 과제에서 특이한 점은 getter과 setter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조건이 붙은 것이다. 이제까지 다른 사람들의 코드를 보면 getter과 setter을 많이 사용했던 .. 2024. 3. 5. 이전 1 ···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