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 service란
클라우드 사업자가 확보한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db등등 모든 서비스 자원들을 인터넷 망을 통해 월 임대 방식으로 빌려쓰는 서비스
(빌려서 쓰는 것이다 구매 아님)
국내
네이버
kt
nh
카카오
cloud service 왜 쓰는 걸까요?
cloud의 장점
1. 온프라비스 장비 사는데 (HW장비들 서버, 스토리지 등) 4에서 5주 걸린다. 근데 클라우드는 바로 쓸 수 있음 (직시성)
2. 확장성 - 스펙 올리기 빠르다. (할인으로 접속자 증가할 떄 클릭 한번으로 스펙 올릴 수 있다. 알아서 늘어날수도 있다)
auto-scaling
scale-out : 서버 늘어남(대수)(자원) scale-up : 스펙이 늘어난다
scale-in : 서버 줄어든다(대수)(자원) scale-down : 스펙이 줄어든다.
서버를 상황에 맞게 놓아주는 기능
3. 유연한 인프라 관리
[hw 온프레미스 구축 방식]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비용 별도 협상
-도입 및 운영 비용 천차만별
-데이터베이스 라이선스 비용 차이
[클라우드 서비스 구축 방식]
-실시간 사용량 운영 및 라이선스 비용
-공개된, 서비스 운영 및 라이선스 비용
-규모의 경제에 따른 비용 절감
-잘못 예측된 운영 비용 빠른 개선
-> 필요한 만큼 써서 경제적이다.
4. 손쉬운 글로벌서비스 (NCP)
리전 다국적기업 할 떄 전 세계적으로 센터가 있다.
동남아에 라인 점유율이 높기 떄문에 네이버 클라우드가 많이 분포해있다.
5.강력한 보안(SLA)service level agreement
서비스 사업자와 서비스 사용자가 제공될 정보 서비스 및 그와 연관된 여러 조건들에 대한 서로의 책임과 의무 사항을 기술해 놓은 협약서. 서비스 사업자와 서비스 사용자 간 합의를 통하여 서비스 시간, 서비스 가용성, 성능, 복구 등 다양한 항목에 대해 최소한의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사전에 협약
-클라우드 사업자가 최신 소프트웨어 보안 기술 뿐만 아니라 물리적으로 분리된 상호 보완용 데이터센터(리전)과 강력한 방화벽 등 최신 보안 기술을 자사의 서비스에 도입
-주요 클라우드 사업자는 100%에서 99.98%의 가용성을 보장
cloud의 단점
1.생각보다 비싼 비용
[hw 장비들(서버, 스토리지 등)]
-서버 1ea : 1000만원(vat 별도)
-3년 무상 유지보수 적용
-이후 연 단위 유지관리 비용
[cloud services]
-서버(vm)1ea : 50만원/월(vat별도)
-월 600만원
-5년 3000만원
조금 필요하면 클라우드 안 쓰는게 좋다. 근데 크기를 예측할 수 없을 때는 cloud를 쓰는 것이 좋다.
2. 빠른 개발 속도
-인프라/ 데이터베이스/ 보안/미디어/ 게임/ 협업툴/ 등
-190여개 상품 라인업이 제공되며, 매해 2배 개발속도
3. 보안의 불안함
데이터가 타 기업에 넘어가는 것에 대한 불안함
-secure zone과 하이브리드클라우드가 대책이다.
Q. 글로벌, 국내 클라우드 사업자 7개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aws
cloud service 등장 배경
2025 181제타바이트 데이터 생성
테이터 폭증으로 앞당겨진 디지털 수요
금융data
마이데이터 (하나의 어플에서 모든 은행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관심있는 것을 파악한 후 관련 상품을 추천해준다.
마이데이터하고 클라우드가 어떤 연관이 있을까
데이터의 증가속도가 너무 빠르기 때문에
의류data
[내부 검색어] : 쇼핑몰에서 제공하는 검색창에 방문자가 찾는 검색어를 분석한 통계
[구매선호 가격대] : 가격대 별 방문자에게 노출된 횟수, 장바구니 담긴 수, 구매 건수, 매출액을 분석
의료 mydata
개인 주도로 자신의 건강정보를 한 곳에 모아서 원하는 대상에게 데이터를 직접 제공하고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 ->헬스케어서비스 제공 가능
코로나19가 만든 클라우드 boom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으로 교육이 많이 되었다.
게임업계
게임쪽에서는 클라우드를 활발하게 운영하고 있다.
이커머스에서도 많이 씀 -> 예측할 수 없는 트래픽때문
스타트업업계
무료지원도 많이 함
커질 것을 생각해서 클라우드 업체를 옮기기 쉽지 않다. 근데 요즘에는 이런거 지원해주는 서비스 생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 혹은 온프래미스 시스템을 병행 사용하는 형태
퍼블릭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온프래미스의 장점을 결합함
멀리 클라우드
서로 다른 업체에서 2개 이상의 퍼블릭 클라우드를 이용해 하나의 서비스를 운영
락인이 되는 것을 방지(가격이 무지막지하게 올리면 쓸 수 없어지니까)
IaaS , PaaS, SaaS
aaS : as a service
-> 클라우드형 서비스이구나
CSP
-> naver cloud, kt cloud, nhn cloud...
MSP
-> 메가존, 베스핀글로벌, 삼성SDS, LG CNS....
활동정리/특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