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nt-end/Node.js

[Node.js] Node.js Helloworld & Common JS 모듈시스템

잔디🌿 2023. 8. 6. 23:44

Node.js를 사용해본다.

 

우선 비주얼스튜디오 코드를 열고, 파일을 열어준다.

그 다음 보기 -> 모양 -> 패널을 클릭한다.

 

그러면 밑에 이 화면이 나오고, + 버튼을 눌러 powershell을 선택한다.

 

이 때 터미널이란 무엇일까 ?

우리가 평소에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때 마우스로 아이콘을 누르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를 Grapic User Interface(GUI)라고 한다. 하지만, 명령어를 입력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도 있는데, 이를 Command Lind Interface(CLI)라고 한다. 이 때 명령을 내리는 곳이 터미널이다.

 

그럼 이제 명령어로 파일을 실행시켜보자.

 

powershell을 열면 위와 같이 폴더의 경로가 다 나온다. 여기에다가 node 파일명 을 입력하면, 위와 같이 코드가 실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모듈이란?

어떠한 기능을 하는 파일 각각을 의미한다.

우선, cals.js파일에 위와 같이 모듈을 만들어준다. moduleName은 모듈명을 나타내고, add와 sub는 모듈 내의 함수를 의미한다.

 

오른쪽 상단에 네모 두 개 붙인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위와 같이 열려있는 두 파일을 분할해서 보여준다.

 

그 다음 index파일을 위와 같이 수정한다. 첫번째 줄은 모듈을 호출하는 것이고, 세번째 줄은 이를 출력한다.

이때 유의해야 할 점은 module과 require함수는 node.js에서만 지원하고 vanilla.js에서는 지원하지 않는다.

파일을 저장한 후 터미널에 명령어를 입력하면 위와 같이 결과가 출력된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모듈에 있는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은

위와 같이 모듈을 불러온 객체.함수명 을 출력하면 된다.